해마다 초겨울에 유행하는 백일해. 감염성이 워낙 높고 영유아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어 예방 접종을 통해 미리 예방해야 한다. 이번 포스팅은 백일해 증상, 전염 여부, 예방 접종 하는 곳 및 비용 등의 정보를 담아보았다.
백일해는 그램 음성 박테리아의 일종인 백일해 균으로 인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이다.
주로 영유아기 때 발병하는데 어릴 때 맞은 백신의 효과가 시간기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성인이 되어 발병하기도 한다.
백일해는 주로 기침, 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전파에 의해 감염되기 때문에 환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있다면 전염의 위험이 높다.
특히 가족 내 2차 발병률은 80%에 달하기 때문에 영유아뿐만 아니라 온 가족이 예방접종을 할 필요가 있다.
백일해는 주로 영유아기에 발병된다.
초기에는 재채기, 마른 기침, 콧물, 식욕 부진, 몸살과 같은 전신의 통증 등 경증의 감기와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독감이나 감기와는 다르게 고열이 발생하는 것은 드물다고 한다.
10~14일 이후에 기침발작 증상이 나타난다.
5회 이상의 빠르고 연속적인 기침 끝에 '웁', '흡' 하는 호흡 소리가 들리는 것이 백일해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하지만 모두가 이런 증상을 보이는 것은 아니며 예방접종을 했을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기침은 끈적한 점액, 가래 등을 동반하고 기침이 아주 심할 경우 구토를 동반하기도 한다.
아주 어린 영아의 경우 피부가 파랗게 변할 수 있고 숨막힘 발작과 호흡 정지 등이 관찰되기도 한다.
기침은 보통 1달 정도 지속되다가 점차 회복된다.
소아의 기침이 회복되지 않고 계속되면 경우 일부는 폐렴, 중이염 등으로 발전하기도 하니 적절한 시기의 치료가 필요하다.
성인도 증상은 영유아와 비슷하나 영유아칸큼 증상이 심각하지는 않다.
2주 이상 이유 없는 만성 기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백일해 진단은 목 뒤 점액 검체 배양을 통한 PCR 검사를 통해 이뤄진다.
백일해 진단을 받을 경우 박테리아를 박멸하기 위한 에리스로마이신 또는 아지스로마이신 등의 항생제 처방이 이뤄진다.
일반 감기약은 치료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에서 항생제 처방을 받아야 한다.
경증의 아동들은 집에서 격리 생활을 해야 하는데 보통 3주 이상 되었을 때 전염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3~4주의 격리 기간이 권장된다.
한 번 백일해에 걸렸다고 해서 완벽한 면역이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시 백일해에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재감염 되었을 경우는 처음 걸렸을 때만큼 증상이 심각하지는 않다고 한다.
백일해 백신(P)은 보통 디프테리아(D)와 파상풍(Ta) 백신과 DTaP로 결합되어 접종된다.
기초 접종 3회, 추가 접종 3회로 총 6회 접종이 권장된다.
DTaP 기초접종은 생후 2개월 차에 1차, 4개월 차에 2차, 6개월 차에 3차를 접종 한다.
이후에는 추가접종의 개념으로 15~18개월 차에 4차 , 4~6세에 5차를 접종한다.
마지막 백신 접종 후 5~10년 시점에 백신의 효과가 감소되기 시작하므로 11~12세에 Tdap(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추가 접종(6차)이 권장된다.
대한산부인과는 Tdap 백신 접종은 제대혈에서 백일해 항체 생성을 돕기 때문에 임산부도 임신 27~36중에 백신을 접종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특히 앞서 말한 것처럼 백일해는 가족으로 인한 2차 감염률이 80%나 되기 때문에 산모뿐만 아니라 아빠도 예방하는 것이 본인을 위해서나 유아의 감염 예방 차원에서 안전하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은 보건소 및 구청장이 지정한 민간의료기관에서 백신을 접종하고 비용을 지원받거나 저렴한 가격에 접종할 수 있다.
백일해 예방접종도 지원받을 수 있는 항목 중 하나이다.
일단 거주하고 있는 보건소에 전화로 문의를 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만약 백신 지원 사업을 하고 있는 지역구라면 주거지 주변의 지정 의료기관은 어디인지는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접종 시에는 주소지 확인을 위한 주민등록등본과 예방접종 기록 확인을 위한 아기수첩을 지참하여야 한다.
↓ ↓ ↓ 사이트 링크 ↓ ↓ ↓
예방접종도우미
어르신 폐렴구균 사업 지정의료기관 백신잔량 안내 백신잔량 안내 - 병의원명, 잔량 병의원명 잔량 백신 잔량은 지정의료기관에서 실제 보유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안전한 예방접종 실시
nip.kdca.go.kr
일반 병원에서 접종 시에는 3만 원 대 후반 ~ 5만 원 정도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
아래 사이트 접속하셔서 집 주변 의료기관을 검색하시면 아래와 같이 접종 여부와 비용을 확인할 수 있다.
↓ ↓ ↓ 사이트 링크 ↓ ↓ ↓
https://www.hira.or.kr/npay/index.do#app%2Frb%2FnpayDamtInfoList
www.hira.or.kr
서울 해돋이 명소, 행사, 일출시간 (1) | 2023.12.30 |
---|---|
돼지고기 수육 부드럽게 삶는 법_유튜버 비법 실험 (2) | 2023.12.20 |
미국 졸업사진 AI_EPIK_'이어북' (0) | 2023.09.27 |
LG 휘센 제습기_모델 별 기능, 가격 차이 정리 (0) | 2023.07.24 |
6월 여행가는 달_할인 혜택 총정리, 링크 (1) | 2023.05.23 |
댓글 영역